‘생활하수’에 섞인 바이러스 분석해 코로나19 등 감염병 감시한다
정부가 4월부터 생활하수에 섞인 바이러스량을 분석해 지역사회 환자 발생을 추정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인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 사업을 시작한다.
질병관리청장은 그간의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일상적 감염병관리로 전환을 앞두고, 이달부터 전국적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 사업을 실시한다고 5일 발표했다.
이에 전국 64개소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주 1회 이상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물론 노로 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감염성 병원체를 감시할 계획이다.
특히 하수기반 감염병 감시는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새로운 감염병 감시 기술로 인정해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고, 미국 등 외국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하수처리장 유입수 샘플 채취 사례. (사진=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현재 임상기반 전수감시는 실제 환자를 모두 파악하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사회적 노력과 비용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상적 관리체계 2단계 진입 때 전수 감시는 일부 의료기관만 환자를 보고하는 표본감시로 조정하며, 하수감시는 표본감시를 보완할 새로운 과학적 분석기법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한편 하수기반 감시는 환자 및 의료인의 검사와 신고에 의존하지 않아 편의성이 높으며 몇번의 검사로 지역사회를 평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아울러 코로나19 외 항생제 내성균 등 다양한 병원체도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병청은 그동안 시범사업을 통해 전국 시, 도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활용 가능성과 신뢰성을 평가해왔으며 실측자료를 통해 하수 감시 결과와 지역사회 환자 발생 경향 사이의 일치성을 확인했다.
하수기반 감염병 감시 사업은 전국 17개 시·도에서 선정한 64개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주 1회 이상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노로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감염성 병원체를 감시한다.
또한 올해 국고보조사업인 새로운 역학감시체계 구축(하수감시) 운영을 통해 전국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지침 개정 등으로 제도적인 부분을 개선했다.
이 사업은 관련 지자체·부처 및 학계 등과 범정부적 협력체계를 구축해 추진하고 있으며, 감시 개시 후 주기적으로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 주간정보’ 등으로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