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반도체 생산은 17%↓
지난달 국내 생산과 소비, 투자가 일제히 늘어 1년 2개월 만에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반도체 생산이 17.1% 줄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3년 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 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109.4로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해 10월(-1.1%), 11월(-0.5%) 내림세를 보이다가 12월(0.1%), 1월(0.1%) 상승세를 기록해 이달까지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광공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서비스업,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3% 늘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2.9% 증가했다.
광공업생산은 1차금속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 자동차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3.2% 줄었다.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 전자부품 등에서 생산이 줄어 8.1% 감소했다.
제조업재고는 반도체, 기계장비 등의 증가로 전월대비 0.9% 증가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 자동차 등의 증가로 8.9% 늘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68.4%로 전월대비 2.4%p 하락했다.
서비스업생산은 정보통신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운수·창고, 숙박·음식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7%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정보통신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에서 생산이 늘어 7.2%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승용차 등 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모두 늘어 전월대비 5.3%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에서 판매가 줄어 0.8% 감소했다.
소매업태별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승용차·연료소매점에서 판매가 증가했으나, 면세점, 전문소매점, 무점포소매, 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줄었으나,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에서 투자가 늘어 전월대비 0.2% 증가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항공기 등 운송장비 및 일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에서 투자가 늘어 5.7% 증가했다.
국내기계수주는 공공에서 수주가 늘었으나 민간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동월대비 8.5%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건축 및 토목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늘어 전월대비 6.0% 증가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축 및 토목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늘어 22.4% 증가했다.
건설수주는 철도·궤도 등 토목 및 사무실·점포 등 건축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7.4% 감소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광공업생산지수, 내수출하지수가 감소했으나, 건설기성액, 소매판매액지수 등이 증가해 전월대비 0.4p 상승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수주액, 코스피 등은 증가했으나, 장단기금리차, 기계류내수출하지수 등이 감소해 전월대비 0.3p 하락했다.
지난달 산업활동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광공업 생산은 부진하나 그동안 주춤했던 내수지표가 개선되고 건설투자 실적이 늘면서, 지난해 4분기 부진했던 전산업 생산이 올해 1분기 들어 소폭 반등하는 흐름으로 평가된다.
1월 부진했던 소비는 일시적 애로요인이 해소되고 대면활동이 확대되면서 서비스와 재화 소비 모두 개선되었으나, 반도체 중심의 광공업 부진이 전산업 생산 회복을 제약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어려운 국내외 실물경제 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향후 경기흐름에 대해서는 상하방 요인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생산 측면에서는 중국 리오프닝, 방역규제 추가완화 등에 따른 대면활동 확대 등은 긍정적 요인이나, 최근 글로벌 금융불안의 실물경기 파급 가능성, 반도체 등 주력 IT 품목의 수출 부진 등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소비·투자는 조특법 개정안 국회 통과, 내수 활성화 대책 추진, 소비자·기업심리 개선 등은 긍정적 요인이나, 높은 물가·금리 수준, 반도체·부동산 경기 하강, 가계부채 부담 등은 리스크 요인으로 평가된다.
이에 정부는 글로벌 금융불안의 국내 파급 가능성에 유의하며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수출·투자·내수 등 경제활력 제고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국내외 금융시장·실물동향을 24시간 점검하면서 이상징후 발생 때 적기 대응하고, 금융·부동산 시장 등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예정이다.
상반기 경기 보완을 위한 재정집행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내수활성화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조특법 개정안 통과 계기로 기업의 수출·투자애로 해소노력을 강화하고, 한-일 정상회담, UAE 수주 등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이행할 방침이다.
신성장 4.0 본격 추진과 노동·교육·연금 구조개혁,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한 건전재정 기조 확립 등 중장기 경제체질 개선노력도 적극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