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R&D 강화…의료기기 등 10대 분야 투자전략 확정
정책과 투자의 연결성 높이고 유망 기술수요·투자 공백분야 발굴
정부가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헬스 전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전략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29일 바이오헬스 R&D 투자의 전략성 강화를 위해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전략Ⅱ‘을 수립하고 제9회 바이오특별위원회에서 심의·확정했다고 전했다.
이번에 수립한 ‘투자전략Ⅱ’는 2019년 12월에 수립된 투자전략Ⅰ과 함께 바이오헬스 전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전략이다.
먼저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의 기본 방향을 보면, 새로운 법·제도 기반의 정책 등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헬스 연구·산업 지원 정책과 연계한 투자전략을 수립해 정책과 투자의 연결성을 제고한다.
또한 연구·산업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유망 기술수요와 투자 공백 분야를 발굴하고 단·장기 중점 투자 방향 마련을 통해 중장기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한다.
아울러 기초 단계의 성과 발굴 등을 통해 기초·응용·개발 단계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전주기적 연구개발을 지원, 연구개발의 산업화를 촉진한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번 투자전략 수립을 위해 총 90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한 실무작업반(워킹그룹)을 구성·운영, 현장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10개 분야에 대한 맞춤형 투자전략을 제시했다.
10개 분야는 원천·기반연구, 바이오융복합, 의약품, 의료기기, 첨단재생의료, 헬스케어서비스, 임상·보건, 산업혁신·규제과학, 전문인력양성, 생명자원·정보인프라 등이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건강과 의료에 대한 전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바이오헬스 연구와 산업 역량에 대해 점검해보는 계기가 됐고 정부 연구개발에서도 전략적인 투자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면서 “이번 전략은 바이오헬스 분야의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에 활용할 계획인 만큼 사업을 추진하는 관계 부처가 이 전략을 참고해 적극적으로 공백영역 발굴, 신규 사업 기획 등을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자료출처=정책브리핑
김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