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증상·경증환자, 생활치료센터 입소 원칙…‘병상 과잉사용’ 방지
기초역학조사서·환자 증상 등 기초로 입원 및 생활치료센터 대상 분류
중대본, 중앙공동대응상황실 구성 및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 체계 운영
정부는 최근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 급증함에 따라 16일부터 국립중앙의료원에 중앙공동대응상황실을 구성하고,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대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별로 일부 상이했던 병상배정 기준을 재정비하고, 의료자원의 공동 관리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별로 다른 중증도 분류·병상배정 기준을 정비해 무증상·경증환자는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원칙으로 확립해 병상의 과잉 사용을 방지할 계획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기초역학조사서와 환자의 증상·동반질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활치료센터 입소대상을 명확히 구분하고, 입원으로 분류된 대상자도 의사의 판단에 따라 생활치료센터 입소대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또한 중앙공동대응상황실이 수도권 확진 환자의 병상 배정을 총괄해 수도권 내 병상을 통합 활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수도권 외 지역의 병상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김 총괄조정관은 “예를 들어 서울지역은 중증환자 대응역량이 충분하고 경기지역은 생활치료센터 등 경증환자 대응 자원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병상 등의 자원을 공동활용해 보다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환자 격리병상의 사용기준을 제시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회복환자는 일반적인 여유병상으로 전원을 유도해 중환자 격리병상의 여력을 확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총괄조정관은 “병상과 치료센터도 계속 확충해 환자들이 대기하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며 “중증환자 치료병상을 추가로 50여 개 확충하기로 하고,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도 260여 개 추가확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생활치료센터도 19일부터 태릉선추촌을 개소했고, 경기도 교육연수원 등 추가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 입소자의 경우 2인 1실 사용을 적용해 경증환자의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는 수도권 코로나19 환자 공동대응을 통해 환자의 증상에 적합한 치료를 제공하고 환자 급증에 따른 병상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하고, 확진자 대다수가 무증상·경증환자임을 고려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생활치료센터를 추가로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자료출처=정책브리핑
김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