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에서 4세기대 신라 찰갑(札甲) 출토
신라의 영동지역 진출 시점·의의 알 수 있는 학술적 자료
4세기대 신라 찰갑(札甲)이 완전한 형태로 영동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찰갑은 작은 미늘 조각들을 이어 붙여서 만든 갑옷으로,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에서 하수관로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조사중에 출토되었다.
|
토광목곽묘 서쪽에서 발견한 찰갑과 신라 토기(장경호) 모습. (사진=문화재청) |
이번에 발견된 유물은 직사각형 형태로 동·서 방향으로 놓인 토광목곽묘에서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확인된 규모는 길이 약 3.05m, 폭 1.4m, 깊이 25cm 정도로, 바닥에는 지름 5~10cm의 작은 돌을 사용해 시상대를 마련했다. 시상대(屍床臺)는 무덤 내부의 바닥에 시신을 올려놓기 위해 마련된 구조물이다.
이와 더불어 목의 뒷부분을 보호하는 목가리개(경갑, 頸甲), 어깨를 보호하는 어깨가리개(견갑, 肩甲)도 함께 확인되었다. 찰갑 옆에는 긴목항아리(장경호, 長頸壺), 짧은목항아리(단경호, 短頸壺) 등 신라 토기들과 금귀걸이 한 쌍이 함께 부장되었는데, 4세기 대 강릉지방에 주둔했던 신라 장수의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395년(신라 내물왕 42년) 말갈이 북쪽 변방(현재 강릉 인근)에 침입해 신라가 크게 패했고, 450년(신라 내지왕 34년)에는 하슬라(강릉의 옛 지명) 성주 삼직(三直)이 고구려의 변방 장수를 살해했다고 한다. 이는 4∼5세기대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고구려와 신라 간에 국경 충돌사건이 빈번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강릉지역에서는 많은 수의 신라 고분이 조사되었는데, 특히 초당동 고분군의 대형 석곽묘에서 금동관, 관장식(관식, 冠飾), 호접형(蝴蝶形, 나비모양) 금동 관모장식 등 신라 상류층의 물건들이 출토된 바 있다.
토광목곽묘에서 나온 금귀걸이 출토 현장. (사진=문화재청)
|
토광목곽묘에서 나온 금귀걸이 출토 현장. (사진=문화재청) |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은 “초당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찰갑은 이른 시기부터 신라가 강릉 지역을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해왔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자료”라면서 “신라의 영동지역 진출 시점과 의의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형석rlagudtj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