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한강의 생태계가 살아나고 있다

등록일 2007년09월17일 00시0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한강의 생태계가 살아나고 있다
조사된 분류군별 생물종수
 
 
 
한강 수역에서 연도별 출현 어종 비교
 
 
수박풀
 
서울시는 지난해 3월부터 금년 7월까지 한강본류(팔당댐 하류- 신곡수중보)와 주요지천(탄천, 안양천, 중랑천, 홍제천, 불광천) 그리고 청계천 및 서울숲을 대상으로 생태계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강 생태계 조사는 1987년도에 처음 시작하여 4~5년 간격으로 실시해 오고 있는데, 이번 조사는 6번째이며 2002년도에 실시한 조사 이후 5년 만이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주관하여 조사를 총괄하였으며 서울대 등 12개 기관의 15개 연구팀이 투입되어 2006년도 봄철부터 2007년도 봄철까지 5계절 동안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총 1,601종의 생물종이 서울의 하천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2년 한강생태계 조사 당시의 1,450종에 비하여 151종이 증가한 것으로써 한강의 생물 다양성이 높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강생태계 조사가 처음 시작되었던 1987년부터 2007년까지의 조사결과를 볼 때 생물상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한강의 자연성과 생태환경이 꾸준히 복원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990년도 이후 수질개선노력, 한강 주요지점의 생태거점화(고덕지구의 형성, 서울숲과 중랑천 합류지역의 지형적 형성에 의한 새들의 휴식처 제공, 밤섬과 하류 지역의 어류서식처 제공)와 지류천의 자연형 하천복원, 생태적 관리방안 마련 등과 생물의 적응성 등의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깨끗한 하천을 대표하는 ‘은어’도 한강에 서식

어류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다른 어떤 하천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희소종이며, 서울시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강주걱양태, 됭경모치, 황복, 꺽정이 4종이 모두가 서울시계의 한강에서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이 10종(가시납지리, 긴몰개, 됭경모치, 몰개, 얼룩동사리, 중고기, 줄납자루, 참중고기, 각시붕어, 참갈겨니)이나 발견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 출현종의 수도 2002년 조사에서 57종에서 71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냉수성 어류인 빙어와 깨끗한 하천을 대표하는 지표종인 은어가 이번 조사에서 확인되어, 한강의 어류 서식환경과 수질이 더욱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새롭게 출현한 비단잉어, 이스라엘잉어, 중국산 붕어 등은 외래도입종으로써 인위적인 방류나 방생으로 인하여 분포하고 있다.

어류는 1987년과 1990년의 종수인 20종~40종보다 2배 정도 많은 60종으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과거 50년대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어류의 개체수는 대규모 채집이 금지되는 등의 원인이 있지만 과거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우점종을 보면 80년대 이전에는 누치, 그 후에 수질이 악화되면서 수질이 나쁜 곳에 서식이 가능한 붕어로 바뀌었다가 현재는 다시 누치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어류가 이렇게 증가한 것은 한강의 안정화, 지류천의 수질개선, 한강 주요지점에 다양한 어류서식처 확보 등이 주요 요인이라고 평가된다.

탄천, 안양천 등 지천의 생물상은 한강 본류에 비해 크게 열악, 청계천에는 21종 어류 서식

한강의 주요지천의 생물종은 461종~592종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한강 본류의 생물종의 수 1,316종에 비해 크게 적은 것이다. 특히 식물의 경우 한강본류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인데, 이는 지천 둔치를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어류의 경우도 한강본류에 비해 적은 수준인데 이는 지천의 경우 한강본류에 비해 수질이 크게 나쁘고, 안정적인 유량확보의 어려움, 어류 서식처 등 생물종 서식여건이 크게 열악한 상태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양서·파충류의 경우만 본류와 유사한 종수를 보이고 있는데, 비교적 먹이사슬에서 높은 위치해 있는 양서파충류가 한강 전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은 지천의 생태계 서식환경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탄천의 경우 한강 주요지천에서 가장 많은 생물종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 19종, 조류 46종, 양서파충류 12종, 육상곤충 225종 등 주요 생물종의 수가 다른 지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서울시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조성된 탄천 하류에 넓은 습지 및 초지대의 조성과 양재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이 탄천과 연계되어 다른 지천과 비교해 비교적 생물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홍제천은 총 생물상이 461종에 머무르고 있어 지천중에서도 가장 빈약한 생물상 현황을 보이고 있다. 홍제천은 다른 하천에 비해 둔치 등의 하천부지가 좁고, 수량도 풍부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홍제천의 경우 어류와 조류의 종 및 개체수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주변지역에 생태경관지역을 지정이나 하천 유량확보와 한강 밤섬등과 연계성 강화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청계천의 경우 21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복원 이후로 생태계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류인 수표교 부근에 버들치가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유속이 매우 빠른데다 물가에 버드나무와 수초가 심어져 있어 버들치가 서식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의 청계천 수역은 피라미가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하상에 자갈과 모래가 풍부하고 여울이 잘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이 복원된 직후이므로 피라미가 우선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생각된다.

황학교 부근에 가장 다양한 물고기가 서식하고 있었는데 교각 밑에 수심이 1m 이상 되는 소규모 늪지, 물 가장자리로 오목하게 들어간 웅덩이, 빠른 여울과 느리고 평평한 여울 등 다양한 소규모 서식지가 형성되어 다양한 어류의 서식을 유도하였기 때문이다.

중랑천 월동조류의 서식처로 거듭나다.

조류는 총 98종으로 그 중 환경부 지정 법정보호종은 황조롱이, 큰기러기 등 8종이 출현하였다. 계절별로는 가을과 겨울에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철 월동 조류로는 청둥오리, 큰기러기, 비오리, 흰죽지 등의 물새류이다.

특히 중랑천은 가을 및 겨울철에 가장 많은 조류가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서울시 조류 개체수의 14.3%를 차지하는 중요한 지류로 확인되었다. 한강에서 월동하는 조류의 개체군 크기 및 비율을 고려할 경우 한강은 겨울철새의 주요 월동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안양천에서 발견된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 종인 노랑부리백로 1개체는 주로 해안에 분포하는 새인데,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랑천 하류는 청계천과 서울숲이 연계되어 있고, 모래톱이 조성되어 조류의 먹이가 풍부하여 조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거듭나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인 맹꽁이와 금개구리 서식,

외래 위해종인 황소개구리는 도태된 듯

양서파충류는 19종이 조사되었는데, 본류에 12종, 지천에 12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종인 맹꽁이와 금개구리 2종이 조사되었다. 맹꽁이는 한강변을 중심으로 간간이 서식하며,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탄천에서 확인된 금개구리는 우연한 기회에 유입된 종으로 판단되어, 서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생태계 지표종으로 수질지표로 대표할 수 있는 종들은 참개구리, 자라, 산개구리 그리고 물두꺼비 등 4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물두꺼비는 산간 계류의 맑은 청정지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탄천의 금개구리와 유사한 경우로 우연한 기회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하천변 습지대에 서식하는 종으로는 맹꽁이,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그리고 파충류의 유혈목이 등 4종이 있고, 하천변의 초지에 주로 서식하는 종으로는 누룩뱀, 줄장지뱀, 살모사, 쇠살모사 등 4종이 확인되었다. 외래도입종이면서 생태계 위해종인 황소개구리는 지난 조사에서는 확인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아 도태된 것으로 추정되고, 대신 붉은귀거북이 전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었다.

이렇게 양서·파충류가 서식한 것은 하천을 중심으로 좌안과 우안으로 넓은 초지대와 경작지 그리고 저지대의 습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양서·파충류가 서식하기에 양호한 서식기반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서울숲과 청계천 복원 등으로 한강변 식물종수 902종으로 급격히 증가(28%, 196종 증가)

식물은 총 902종이 조사되어 2002년 706종보다 196종이 증가하였으며,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II급 종인 층층둥굴레가 1종 확인되었다. 식물종의 급격한 증가는 한강 변의 화단 조성, 청계천 복원 및 서울숲 조성 등의 인위적인 식재가 주요한 원인이지만, 적절한 관리와 적합한 종의 식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새롭게 조성된 청계천과 자연형 하천복원으로 인위적인 식재가 이루어졌던 탄천, 양재천도 그 동안 양호한 관리가 이루어져 높은 생물 다앙성을 보여주는 등 서울의 하천이 안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단풍잎돼지풀, 그리고 가시박 등 외래식물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육상곤충류, 1990년 100여종에서 금년 400여종으로 4배 정도 증가

곤충류는 육상곤충 398종, 수서곤충 및 저서무척추동물이 100종 등 총 498종이 조사되었다. 이 중 서울시보호종인 왕잠자리와 풀무치가 한강 전역에서 관찰되었다.

1987년과 1990년의 한강개발사업시기에는 육상곤충이 100여종에 지나지 않았으나 1998년에는 200여종이 넘어섰고, 2002년과 2007년에는 400여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조사에서는 서울시보호종인 풀무치와 왕잠자리 2종이 출현하였다.

올봄에는 암사동 및 고덕동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 수질지표종인 동양하루살이가 수온상승에 따라 일시적으로 대량 발생하여 한강을 찾는 시민들과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불편을 끼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한강과 주요지천의 둔치에 인위적인 식생조성 사업을 실시하였고, 또한 한강 고덕지구, 탄천하류지역, 서울숲, 청계천 등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하거나 생태계 향상사업의 실시, 한강의 둔치의 관목류 식재 등으로 인해 곤충의 서식환경이 크게 개선하였기 때문이다.

고덕지구와 같은 자연호안에서 생태환경 발달

한강본류의 생태환경이 풍부한 거점지역으로 고덕지구, 창릉천합류부 등이 있는데, 이 지역의 특징은 하천둔치의 식생이 무척이나 풍부하다. 특히 저수호안을 콘크리트 호안블럭이 아닌 자연호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변부에서 둔치까지 식생이 잘 발달하여 생태계가 양호하게 조성될 수 있다.

특히 저수호안은 제방사면에 비해 비교적 쉽게 개선할 수 있는데, 하천에 흐르는 물로 인하여 식물들이 쉽게 자랄 수 있어 저절로 생태계가 조성되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고덕에서 암사지구에 이르는 하천변에 식생이 크게 좋아지고 있는데, 이 지역은 인위적으로 개선하지 않고 자연복원방식을 이용하여 식생이 매우 풍부해지고 있는 사례이다.

즉 제방사면에서 저수호안에 이르는 수변완충녹지대의 복원 및 형성(다양한 식생경관 유형 도입)을 통하여 동물 서식처 확보와 식생 여과대로서의 기능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강의 생물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강 생태지도’ 제작하여 환경교육에 활용

한강 생태지도는 생태계조사결과를 시민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생태계 조사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진이나 도표를 이용하여 한강의 구간별 우점종, 희귀종 등 출현현황을 설명하였으며 생물종의 분포와 생물의 특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6종의 한강생태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한강환경교육에 활용하거나 생태계 모니터링과 복원방법 등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회부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경제 사회 정치 세계 만평
더보기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포토뉴스 더보기

기부뉴스 더보기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