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잔해물 수색작업 어떻게 이뤄지나
무인탐사정 폭발 지점 투입…반경 500m 이내 정밀 탐색
군이 천안함 인양작업과 더불어 수중 잔해물 수거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폭발물 잔해가 천안함 침몰 원인 규명의 중요 단서이기 때문이다.
군은 지난 15일부터 천안함 폭발 지점의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하고 있다. 3단계로 이뤄진 탐색작전 중 2단계에 들어간 것이다. 여기에는 청해진함과 무인탐사정 ‘해미래호’가 투입됐다. 잠수함 구조함 청해진함을 모함으로 운용되는 해미래호는 크기 3.3×2.2m, 속력 1~1.5kt에 수심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최신 장비다. 해미래호에 장착된 전방감시소나와 수중카메라, 그리고 로봇팔 등으로 해저에 가라앉은 잔해물을 탐지, 하나도 남김 없이 수거하겠다는 것이 군의 계획이다.
군은 이에 앞서 사건 직후부터 14일까지 1단계로 기뢰탐색함과 심해잠수사를 활용해 잔해물의 위치를 확인한 뒤 각종 잔해물을 수거했다. 침몰 해역에서 백령도 연안까지 수색 범위를 넓혀 13일 기준으로 169종 171점을 수거했다. 4종 4점의 대형 잔해물도 여기에 포함됐다. 수색작업에는 기뢰탐색함 4척과 잠수사 38명(한국 28명·미군 10명)이 투입됐다.
이렇게 해도 만족스러운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마지막 3단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는 쌍끌이 저인망 어선으로 바다 밑을 훑으며 잔해물을 수거하는 방식이다. 함미와 함수를 모두 인양한 뒤에야 가능하다.
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백령도 인근 해역에 어민들의 생계와 직결된 어족 자원이 분포돼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며 “어민들과 협의한 뒤 3단계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수거한 잔해물과 부유물은 일자와 품목별로 분류해 평택 해군2함대사령부에서 통합관리한다. 아울러 민·군 합동조사단에 의해 침몰 원인의 중요한 분석자료로 활용된다.